티스토리 뷰
1920년대 후반, 집집마다 유성기(축음기) 한 대 씩 들여놨다 할 만큼 축음기가 보편화되기 시작했다.
물론 그 가격이 비쌌기 때문에, 집에 구멍이 날 정도로 가난해도 축음기는 들여놓는다고 조롱을 받기도 했었다.
레코드판을 재생할 수 있는 축음기의 보급은 곧, 유행가가 탄생할 수 있는 토대가 갖춰줬음을 뜻하는 것이었다. 당시 경성의 유행가는 주로 영화 주제가였는데, 프랑스 영화인 <몽 파리>, 한국영화인 <낙화유수> 주제가가 가장 유행하던 노래였다.
다방, 카페, 가정집 등에서 흘러나온 이 노래들은 모던-걸, 모던-보이뿐 아니라 학생, 직장인, 아이들까지 즐겨 부르는 메가 히트 유행가였다.
<몽 파리>
<낙화유수>
'1일 1경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상은 왜 그리 환히 웃었던 걸까? (0) | 2018.12.02 |
---|---|
경성 최초의 영화관은 한성전기회사 앞마당에 있었다 (0) | 2018.11.23 |
경성 실업자의 심경은 그가 아니면 모른다 (0) | 2018.11.21 |
경성 관광의 명소이자 자살의 명소, 한강인도교 (0) | 2018.11.15 |
시사만평의 할아버지, 만문만화를 아시나요 (0) | 2018.11.14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경성시대
- 만문만화
- 소년입지회
- 몽 파리
- 안석영
- 안석주
- 일제시대
- 구인회
- 소파 방정환
- 구보
- 필름
- 한성전기회사
- 영화
- 갑빠머리
- 한강대교 폭파
- 유성기
- 최초 영화관
- 박태원
- 세계대공항
- 정인택
- 낙랑파라
- 카페걸
- 대모테
- 모던걸
- 귀갑테
- 흥천사
- 경성
- 모던보이
- 한강 투신
- 한강인도교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